
어느덧 성큼 가까워진 2025년이네요. 매년 이맘때쯤이면 발간되는 김난도 교수의 ‘트렌드 코리아’. 과연 2025년을 이끌 키워드 10가지는 무엇일까요? 함께 보시죠!
1. 옴니보어 (Omnivore)

첫번째는 ‘옴니보어’는 영어로 ‘잡식동물’을 뜻하는데요. 파생적으로 ‘여러 분야에 관심을 갖는다’는 뜻도 가지고 있습니다. 소비의 패턴에서 집단의 차이는 줄고, 개인의 차이가 더욱 커진 건데요. 기존의 성별, 연령, 소득 등 전통적인 소비자 분류가 흐려지며, 개인화된 소비가 강화됩니다.
2. #아보하 (#Aboha)

아보하는 ‘아주 보통의 하루’를 뜻하는 신조어입니다. 행복에 너무 집착하고 행복함을 과시해야 할 것만 같은 피로감에서 비롯되었는 말인데요. ‘소확행(소소하지만 확실한 행복)’도 내려놓고 내일도 오늘 같은 무사한 일상이 이어지길 바라는 새로운 행복 트렌드입니다.
3. 토핑경제 (Topping Economy)

같은 마라탕이어도 무슨 재료를 넣느냐에 따라 가격이 달라지는데요. 이처럼 같은 제품이라도 소비자가 자신의 개성을 드러낼 수 있는 상품 선택이 중요해지면서, 커스터마이징이 가능한 소비 형태의 확대를 예고하고 있습니다.
4. 페이스테크 (Facetech)

기술에도 얼굴이 있다? AI 및 얼굴인식기술이 발전하며 앞으로는 사람의 표정을 이해하고 또 표정을 흉내낼 수 있는 ‘얼굴있는’ 서비스가 각광을 받는다고 합니다. 무생물인 기계에 표정을 입히고, 인간다움을 갖춘 기술이 곧 시장과 고객의 선택을 받을 것입니다.
5. 무해력 (Innocuous Power)

푸바오의 인기비결은?! ‘무해력’은 바로 작고 순수한 존재들이 인기를 끄는 트렌드입니다. 자극과 스트레스가 많은 험난한 세상, 작고 귀엽고 연약한 존재가 주는 무해함이 그 자체로 위안이 되는데요. 약할수록 강한 힘, 무해력이 2025의 트렌드 중 하나가 될 예정입니다.
6. 그라데이션 K (Gradation K)

과연 한국은 이제 단일민족일까요? 어느덧 외국인 인구 비중 5%, 그라데이션 K는 다문화 사회로 접어든 한국의 현실을 반영한 개념인데요. K-컬쳐, K-드라마, K-푸드 등 글로벌화와 로컬화 사이에서 과연 진정한 한국다움은 무엇인지에 대한 시사점을 던지는 키워드입니다.
7. 물성매력 (Physical Attraction)

가상기술, 디지털 기술이 발달하더라도, 보고 직접 만질 수 있는 ‘물질’의 매력을 대체하기는 어렵습니다. 상품과 서비스에 물성을 입힐수록 소비자에게 더욱 강력한 경험을 각인시킬 수 있는 것인데요. 대표적으로는 영화(가상)과 관련된 팝업스토어과 굿즈(물성)가 있습니다.
8. 기후 감수성 (Climate Sensitivity)

올여름, 어떠셨나요? 전례없는 무더위로 기상청마저 ‘봄여어어어름갈겨울’ 이라는 유머까지나올 정도인데요. 앞으로는 기후 변화에 대한 적극적인 대응과 환경 문제 해결을 위한 개인 및 기업의 책임이 더욱 강조될 것이라고 합니다.
9. 공진화 전략 (Coevolution Strategy)

경쟁자가 아닌 협력자로서 공존하며 함께 성장하는 ‘공진화 전략’. 이는 동종 업계와의 협력뿐 아니라 이종 산업 간의 융합을 통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방식을 말하는데요. 적과 나를 구분하지 않고 긴밀한 협력을 이루는 것, ‘삼성-현대자동차’, ‘애플-오픈AI’ 등의 협력이 대표적입니다.
10. 원포인트업 (One Point Up)

작은 목표를 달성해 나가면서 자기 개발을 지속하는 패러다임입니다. 이는 불확실한 시대에 장기적인 성공을 위한 발판을 마련하는 방식인데요. 위대한 인물을 롤모델로 삼아 장기적으로 노력하는 것이 아닌, 작은 일을 성취해가며 ‘나다움’을 지켜가는 밸류업 방식을 말합니다.
이상으로 김난도 교수의 '트렌드코리아 2025' 속 10가치 키워드를 간단히 살펴보았는데요. 어떠신가요? 많은 공감이 되시나요? 깜빡이 없이 들어온 '2025' 단어에 놀라신 분들도 많으실 것 같습니다! 앞으로 남은 2024년 잘 마무리하시길 바라겠습니다~!